지난 글에 이어서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 진학 준비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 석사과정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블로그 내에 다른 글들도 한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2023.01.31 - [미국 사는 사회복지사/미국 사회복지사 공부 & 자격증] -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2. 지원 준비하기 1탄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2. 지원 준비하기 1탄
지난 글에 이어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진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2023.01.31 - [미국 사는 사회복지사/미국 사회복지사 공부 & 자격증] -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1. 진
advocate-sohn.tistory.com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 지원하기 지도교수 선정 컨택
지난 글에서는 어학 점수, GRE 점수와 같이 미리 준비해두어야 하는 부분들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이 후에는 이제 정말 지원할 학교들을 골라야 하는데, 이때 고려해야할 부분들도 이야기했는데요,
이제 이렇게 고려사항들이 추려졌다면 실제로 학교들에 컨택해서 나와 함께 일할 지도교수님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지도교수님을 선정하는 데 어떤 것들을 생각해야 할 지 이야기해볼까요.
저도 이제 막 과정을 시작하는 입장에서 드리는 조언이라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제가 지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조언을 종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부분들을 고려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1) 나의 관심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계신 분인지
2) 학생 지도 경력이 있으신지
3) 테뉴어 (Tenure): 정년보장 을 받으신 교수님이신지
4) 현재 학생을 뽑고 있는 지
5) 현재 활발하게 연구활동을 하고 계신지
그렇다면 이런 선정 기준을 가지고 한번 어떤 분들과 이야기를 해볼 수 있을 지 검색을 해보아야 합니다.
지도교수님을 찾는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학교별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기
가장 먼저 쉬운 방법으로는 학교별 랭킹으로 검색해 하나하나 들어가 확인하는 것 입니다.
저는 이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지역적으로 크게 저어하는 요소가 없었기 때문에 다양한 학교들을 랭킹순으로 나열해 들어가 보았답니다.
학교 별 공식 웹사이트에 들어가 현재 사회복지학과로 근무하고 계신 교수님들을 살펴보았어요.
교수님들을 확인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박사생을 지도할 수 있는 연구교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간혹 현장에서 계속 근무하시면서 실천 관련 과목 티칭만 하시는 Clinical faculty 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University of Michigan의 경우에는 교수진을 검색하여 들어가보면 이렇게 분야를 나눠서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도교수를 찾기 위해 컨택할 때에는 Tenure-Track Faculty 항목에서 검색하여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리스트 업 되어있는 교수님들의 명단을 살펴보면서 나의 분야에 맞는 분을 찾아야 합니다.
최근 발간하신 논문들을 보면 알 수 있고, 간혹 홈페이지에 최근 Grant에 대해서 공개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깊게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관심 있는 교수님을 찾았을 때에는 구글 스콜라 (Google Scholar) 로 이동해서 더 상세 검색을 해보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저는 미시간 대학교를 검색했을 때 'Lisa Fedina'라는 분의 연구 주제가 저와 잘 맞는다고 생각했답니다.
그래서 그 분을 검색해보았어요. 프로필을 눌러보면 그 분이 발간하신 모든 논문과 인용 수 등등을 알 수 있답니다.
이렇게 검색해 보았을때, 이 교수님이 현재 활발하게 연구를 하고 계신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답니다.
연차가 많이 되신 교수님이라면 최근 발간한 연구에 1저자 혹은 주요 저자로 들어간 논문이 얼마나 되는 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렇게 관심이 가는 교수님을 발견했다면 학교별로 이를 기록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원서를 쓸 때 딱 1명의 교수님만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2-3명 정도 언급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마음에 드는 한 분 외에도 비슷한 주제이거나 관심이 가는 교수님들의 리스트를 2-3명 정도 추가로 기록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그렇게 언급한 교수님들 간의 어느정도 공통분모가 있어야 지원서를 리뷰하는 입장에서 어느정도 납득할 수 있을테니, 그 부분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학술지 저자 확인하여 교수 검색하기
이 외에도 학교를 중심에 두지 않고, 교수님을 중심에 두고 검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간단하게는 구글 스콜라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에 보여드린 예시 이미지를 보시면, 해당하는 교수님 프로필 밑에 몇 개의 키워드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답니다.
이는 이 키워드를 본인의 중심 주제로 구글 스콜라에 입력한 교수님들을 한번에 모아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저의 경우 키워드가 'gender based violence'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답니다.
이렇게 모아보는 경우, 사회복지 외에도 다양한 분과 교수님들을 볼 수 있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수님을 검색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두번째로는 관심 주제에 관련된 학술지들을 살펴보는 것 입니다.
저도 다양한 학술지를 잘 알지는 못하지만 제가 관심 있는 분야의 학술지들을 몇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곳들에 최근에 자주 게재하는 분들을 알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journals.sagepub.com 이 곳에서 원하는 분야별로 저널들을 검색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저의 경우에는 'trauma, violence, and abuse' 저널이 제가 추구하는 관심사와 가까운 저널이라 생각해 검색해보았습니다.
이렇게 저널별 최근 발간된 이슈들을 모아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이 방법으로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을 찾아볼 수 있답니다.
3. Informational Interview 통해서 교수 추천받기
세번째 방법은 혹 주변에 아카데미아에 이미 계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당장 알고 계신 지도교수님이나 혹은 함께 연구했던 경험이 있는 교수님들이 계시다면, 어떤 분야에 대해 혹은 어떤 학교에 대해 조언을 구하는 것이 정말 큰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저는 어떤 한 대학에 근무하고 계신 교수님과 미팅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때 제가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들과 제가 알아본 교수님들의 리스트를 공유해드렸고, 그 교수님께서는 현직에 계시기 때문에 알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해주셨답니다.
'A 교수는 학생들에게 대우를 매우 잘 해주는 편이다, 혹은 잘 이끌어준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이야기 해주시거나, 혹은 'B 학교는 대학원생들의 대우를 잘 해주지 않기로 유명하다, 국제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약한 편이다' 등등의 이야기를 전해주시기도 하셨답니다.
이는 인터넷 검색 등으로는 알기 어려운 정보들이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해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학교와 교수님들을 리스트업 했다면, 이제 다음 단계는 교수님들에게 컨택하는 것 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보다 자세한 컨택 방법과 유의사항 들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댓글 남겨주세요!
'미국 사는 사회복지사 > 미국 사회복지 박사 (PhD) &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6. 지원 서류 별 팁 (0) | 2023.02.24 |
---|---|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5. 지원 준비하기 4탄 - 지도교수 미팅하기 (0) | 2023.02.21 |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4. 지원 준비하기 3탄 - 지도교수 컨택하기 (0) | 2023.02.03 |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2. 지원 준비하기 1탄 (0) | 2023.01.31 |
미국 사회복지 대학원 박사과정 1. 진로에 대한 고민 (PhD vs DSW) (4) | 2023.01.31 |